2025년에도 개발 계속하기

2024년은 개발자로서의 미래를 정말 많이 고민한 한 해였다. 그러는 와중에 회사 점심시간마다 심란한 마음을 스스로 다독이려고 자바스크립트로 개미 만들기를 했다. 기껏 시간을 들여서 하는 일이 왠지 다른 사람들 눈에는 쓸모 없어 보일 것 같아 울적하기도 했지만, 실제로 개미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관찰하고, 걸음걸이를 수식화한 모델도 찾아보고, 그걸 프로그래밍으로 작성하는 과정은 재미있었고, 위안을 주었다.
내가 구현하고 싶은 개미의 세계에 비하면 지금 배포되어 있는 버전 1.0.0
은 고작 몇 가지 특징만 구현되어 있는 상태지만, 일단락이 필요했다. 하여 지난 9월 막바지에 배포를
했고, 이어서 10월에 퇴사를 했다.
회사를 나온 시기에 나는 내가 정말로 개발자를 그만둘 수도 있겠다고 생각했었다. Claude 같은 생성형 AI는 계속 발전할 텐데, 똑똑하고 친절한 그와 비교하여 인간 개발자로서 나의 메리트는 앞으로 무엇이 될 수 있을지 생각하면 아무래도 앞날을 비관하게 되는 것이었다.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얼마나 더 벌어먹을 수 있을까, 유망하다고 하는 개발 직군으로 넘어가기 위해 또다시 대학원을 가야 할까, 아니면 왠지 한번 해보고 싶었던 케이크 만들기를 배워서 파충류 모양의 케이크를 만드는 베이커리로 창업을 해볼까 정말 별생각을 다 했다.
퇴사한 지 2주도 되지 않아 생계를 위해 완전 재택근무를 하는 팀의 개발자로 다시 3개월을 일했다. 쉬지 않고 얼만큼의 돈을 매달 벌어야 하는 내가 지금 당장 직업으로 할 수 있는 일은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 뿐이라는 걸 새삼 실감했다. 그러니 나보다 빠르게 코드를 짜는 인공지능이 있고, 빅테크와 유니콘 스타트업의 유능한 인간 개발자들이 많이 있어도, 그런 사실과 상관없이 내가 맡은 자리의 안정과 물경력의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공부와 여러 시도를 계속하기로 했다.
2025년에도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로 살기 위해 다음과 같이 해보기로 했다:
- 실력있는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 되기
- 지금 회사에서 하는 작업 하나하나 잘 해결하고 그 과정 기록하기
- 최신
React
NextJS
공부하고 기록하기 (쓰던 기능만 맨날 쓰지 말고 새로운 버전에 어떤 기능이 새로 생겼는지, 왜 생겼는지 생각해 보자) Node.js
공부하고 기록하기 (8 : 2
로 할 수 있는 풀스택이 되자)
- 영어로 일할 수 있는 개발자 되기 (일할 수 있는 시장 넓히기)
- CS 기초 과목들 edX에서 해외 대학 영어 강의로 듣기
- 해외 온라인 컴퓨터공학 석사 과정 가을학기 지원하기
소속이 없어져도 계속 개발자로 살기 위해 다음과 같이 해보기로 했다:
- 1인 앱 개발자 되기
- 지금 개발하고 있는
vesket
앱 꼭 배포하고 운영하기 vesket
앱을 기반으로 나만의flutter
앱 보일러플레이트 만들기- 노트 앱에 써놓은 아이디어 가운데 두 가지를 빠르게 만들기
- 지금 개발하고 있는
위의 계획은, 내가 개발자로서 일할 기회를 늘리고, 내가 만든 앱으로 1달러라도 벌어보고 싶은 바람을 담고 있다. 2025년의 연말에는 한 해동안 만들어낸 것들을 보며 좀 만족스러운 기분으로 보내고 있으면 좋겠다.